안전용품판매 전문업체 ㈜블루시스템입니다.
오늘부터 밀폐공간 작업시 일어날 수 있는 질식, 폭발 및 화재, 급성독성 중독 사고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특히 오늘은 보건관리자를 위해 급성독성 중독과 그 관리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급성독성이란 입이나 피부를 통하여 1회 또는 24시간 이내에 수 회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4시간 동안 흡입노출시켰을 때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을 말하며, 경구, 경피 또는 흡입 노출에 대해 각각 4개의 구분 중 하나로 분류한다.
[별표 3]유해화학물질 표시를 위한 유해성 항목 (제12조제3항 관련)
“급성 독성물질" 이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1의 7호에 의한 급성독성물질 정의에 따라 쥐에 대한 4시간 동안의 흡입 실험에 의하여 실험동물의 50 %를 사망시킬 수 있는 물질의 농도, 즉 가스 LC50(쥐, 4시간 흡입)이2500 ppm 이하인 화학물질, 증기 LC50(쥐,4시간 흡입)이 10 mg/L 이하인 화학물질, 분진 또는 미스트 1 mg/L 이하인 화학물질을 말한다.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2024.11.14.]
제 2조(정의)
2. "독성가스"란 아크릴로니트릴ㆍ아크릴알데히드ㆍ아황산가스ㆍ암모니아ㆍ일산화탄소ㆍ이황화탄소ㆍ불소ㆍ염소ㆍ브롬화메탄ㆍ염화메탄ㆍ염화프렌ㆍ산화에틸렌ㆍ시안화수소ㆍ황화수소ㆍ모노메틸아민ㆍ디메틸아민ㆍ트리메틸아민ㆍ벤젠ㆍ포스겐ㆍ요오드화수소ㆍ브롬화수소ㆍ염화수소ㆍ불화수소ㆍ겨자가스ㆍ알진ㆍ모노실란ㆍ디실란ㆍ디보레인ㆍ세렌화수소ㆍ포스핀ㆍ모노게르만 및 그 밖에 공기 중에 일정량 이상 존재하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독성을 가진 가스로서 허용농도(해당 가스를 성숙한 흰쥐 집단에게 대기 중에서 1시간 동안 계속하여 노출시킨 경우 14일 이내에 그 흰쥐의 2분의 1 이상이 죽게 되는 가스의 농도를 말한다. 이하 같다)가 100만분의 5000 이하인 것을 말한다.
사업주가 해야 할 일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99조 (독성이 있는 물질의 누출방지)
사업주는 급성 독성물질의 누출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사업장 내 급성 독성물질의 저장 및 취급량을 최소화할 것
2. 급성 독성물질을 취급 저장하는 설비의 연결 부분은 누출되지 않도록 밀착시키고 매월 1회 이상 연결부분에 이상이 있는지를 점검할 것
3. 급성 독성물질을 폐기ㆍ처리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냉각ㆍ분리ㆍ흡수ㆍ흡착ㆍ소각 등의 처리공정을 통하여 급성 독성물질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할 것
4. 급성 독성물질 취급설비의 이상 운전으로 급성 독성물질이 외부로 방출될 경우에는 저장ㆍ포집 또는 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할 것
5. 급성 독성물질을 폐기ㆍ처리 또는 방출하는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구조로 하거나 원격조정할 수 있는 수동조작구조로 설치할 것
6. 급성 독성물질을 취급하는 설비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에는 근로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필요한 경보설비를 근로자와 가까운 장소에 설치할 것
7. 급성 독성물질이 외부로 누출된 경우에는 감지ㆍ경보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출 것
급성독성 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은 가스감지기를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휴대용 가스감지기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얘기하겠습니다.
가스감지기에는 사용자가 알람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알람설정은 High, Low, TWA, STEL 알람이 있습니다. 이 알람치를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페인트 작업이 있다고 하면, 몇 시간 작업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8시간 이내 작업이라고 하면 8시간 작업에 대한 노출기준치인 TWA 기준치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페인트 작업전에 MSDS의 3번과 8번을 확인하세요.
3번을 보면 물질성분과 함유량이 나옵니다.
8번은 노출기준치입니다.
페인트나 시너 등에 많이 함유되고 있는 톨루엔 같은 경우 TWA는 50ppm입니다.
가스감지기 메뉴로 들어가서 알람을 50ppm으로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만약, 작업시간이 4시간이면 4시간 노출기준치를 적용시키고, 예상되는 최고 농도값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복합 물질일 경우 어떤 기준값을 적용시켜야 하는지, 4시간 노출기준치는 어떤건지, 예상되는 최고 농도값을 어떻게 알수 있는지,
보호구는 어디까지 착용시켜야 하는지, 사용을 하다보면 알람이 자주 울리는 등 다른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길거예요.
가스감지기 교정, 수리, 판매를 전문적으로 하고 있으니,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로 연락을 주시면 친절하게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가스감지기 #가스검지기 #가스탐지기 #가스분석기 #가스측정기 #유해가스 #복합가스 #감지기 #검지기 #가스 #급성독성 #산소농도 #O2 #불산감지기 #불화수소 #HF감지기 #암모니아 #NH3 #암모니아감지기 #황화수소 #H2S #일산화탄소 #CO #이산화탄소 #CO2 #톨루엔 #자일렌 #벤젠 #수소 #H2 #시안화수소 #포름알데히드 #HCHO #에틸렌옥사이드 #산화에틸렌 #염소 #Cl2 #이산화염소 #ClO2 #이산화질소 #NO2 #일산화질소 #NO #포스핀 #PH3 #이황화산소 #SO2 #오존 #O3 #메틸메르캅탄 #CH3-SH #VOC #VOCs #독성가스 #산소결핍 #질식 #유기용제 #중독 #폭발하한치 #폭발하한계 #LEL #인화성물질 #산업안전보건법 #산안법 #밀폐공간 #화관법 #화학물질관리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고법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관리감독자 #산업안전보건책임자 #밀폐공간프로그램 #가스검지기 수리 #가스감지기 검교정 #가스측정기 검교정 #가스감지기 교정 #가스감지기 수리 #minimax #minimax x4 #개인보호구 #호흡보호구 #급성독성 #화기작업 #가스작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기작업시 작성하는 인화성과 가연성 가스 측정 (1) | 2025.06.05 |
---|---|
송기마스크, 공기호흡기(SCBA)를 사용해야 할 작업에 대해 (2) | 2025.04.17 |
밀폐공간 작업시 일어날 수 있는 질식, 폭발 및 화재, 급성독성 중독 사고 (1) | 2025.04.14 |